인사 실무 노하우와 인사이트 게시판입니다.
인사 실무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.
대표님의 인사담당자
주소 : 서울시 강서구 마곡동 776-2, B동 1131호
Tel : 010-2844-9316
E-mail : ftg78@naver.com
© COPYRIGHT 대표님의 인사담당자.
ALL RIGHTS RESERVED.
대표님의 인사담당자
주소 : 서울시 강서구 마곡동 776-2, B동 1131호 Tel : 010-2844-9316E-mail : ftg78@naver.com
© COPYRIGHT 대표님의 인사담당자. ALL RIGHTS RESERVED.
앞의 글(6. 직급 체계와 승진)에서 아래 3가지를 다음 글에서 다루기로 했습니다.
1) '직급별 급여 수준' 세팅 + 직급 수당 운영 방법
2) '직책 수당' 세팅과 운영 방법 ← 이번에 다룰 주제
3) '직급체류연한' 세팅과 운영
이 내용들은 HR 업무를 해 보았거나 공부한 사람 또는 검색해 보면 알만한 것들입니다. 그래서 알만한 내용들은 간단하게 언급만 하고 실무에서 고민 또는 이슈가 되는 부분을 위주로 작성하겠습니다.
2-1) 직책
표준국어대사전에서 직책을 찾아보면 '직무상의 책임'이라고 나옵니다. 회사에서는 직책을 '한 명이상의 직원, 여러 개의 업무, 조직의 성과를 책임지는 자리'로 사용합니다.
직책을 나눴다면 각 직책마다 아래의 내용을 정의해서 그 역할과 회사가 기대하는 바를 명확하게 하는 게 좋습니다.
2-2) 직책 수당
이전 글에서 이야기했듯 수당은 지급 사유가 발생했을 때 추가로 지급하는 급여입니다. 그중에서 직책 수당은 직원이 특정 직책을 수행하게 되었을 때 지급합니다.
2-3) 연봉에서 직책수당 설정하기
신규 입사자가 직책자라면.
인사 기획/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나 싶을 때 연락주세요.